서울신용보증재단 소상공인 정책연구센터는 대형마트 휴일 의무휴업 제도가 11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중소유통 상생협력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대형마트 주변 소상공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했다.
대형마트 휴일 의무휴업 제도가 주변 상권의 유동인구와 소상공인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중소유통 상생협력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분포한 대형마트 총 66개를 대상으로 4개년(2019.1.1.~2022.12.31.)의 일별(day) 카드매출액과 통신사의 유동인구(생활인구) 빅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형마트 매출변화
연초(1월)와 명절(설, 추석)에 매출액이 높지만 COVID-19 발생 이후, 감소 추세로 2022년까지 회복되지 않음
주변 상권 생활밀접업종 생활밀접업종의 매출변화
생활밀접업종(외식업․서비스업․소매업)의 매출액은 명절에 높고, 2020년~2021년에 낮음
서울시 100개 생활밀접업종은 일상생활에 밀접하고 소상공인이 많이 분포한 업종으로 사업체 수가 많고 종사자수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 비중이 높으며, 창업 등 진출입이 용이한 업종을 뜻함
주변 상권의 유동인구 변화
대형마트 1km 이내 유동인구는 COVID-19 발생 이후 2020년부터 감소하여 2022년에도 회복되지 않음
온라인유통업 매출액
COVID-19 발생 이후인 2021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하여, 2022년까지도 꾸준히 높은 현황을 보임
주변 상권 생활밀접업종의 매출액
대형마트가 휴업하는 일요일, 주변 상권 생활밀접업종(외식업․서비스업․소매업)의 매출액은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의 매출과 비교하여 1.7% 감소함
온라인유통업의 매출액
대형마트가 휴업하는 일요일, 온라인유통업의 매출액은 영업하는 일요일에 비해 13.3% 증가함. 대형마트가 휴업한 다음 월요일의 온라인유통업 매출은 영업한 다음 월요일의 매출에 비해 19.1% 증가함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인 대형마트 휴업이 주변 상권의 유동인구와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형마트의 휴일 휴업으로 인해, 주변 상권의 유동인구와 생활밀접업종(외식업․서비스업․소매업)의 매출이 감소함
유동인구 : 대형마트 휴업 일요일의 유동인구는 영업 일요일보다 0.9% 감소
매출액 : 휴업 일요일 생활밀접업종의 매출액은 영업 일요일보다 1.7% 감소
대형마트의 휴일 의무휴업은 휴업 당일과 익일 주변 상권 온라인유통업의 매출을 증가시킴
온라인유통업 : 대형마트 휴업 일요일 13.3% 증가, 휴업 직후 월요일 19.1% 증가
주철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이번 대형마트 휴일 의무휴업이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계기로 대형마트 주변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맞춤형 지원정책이 발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월간창업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임병규 기자 ( 경영컨설턴트 ) 다른글 보기 ccgroup@hanmail.net# 태그 통합검색